1️⃣ 🎯 “당신의 소비 성향은 가계부에도 반영돼야 한다”
우리는 모두 같은 가계부 앱을 쓰지만, 가계부를 쓰다 마는 이유는 각자 소비 성향이 다르기 때문이다. 누군가는 숫자 보는 걸 좋아하고, 누군가는 감정이 먼저 움직인다. 그렇다면 이제 가계부도 성격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한다.
MFTI는 소비 성향을 네 가지로 나눈다:
🎨 감성형(E) | 감정에 따라 소비, 기억보다 느낌이 우선 |
🔍 분석형(I) | 데이터 중시, 소비 후 분석하며 기록 |
⚡ 즉흥형(S) | 현재 중심, 계획보단 실행 중심 |
🧭 계획형(J) | 철저한 플랜과 목표 지향 |
이제 이 성향에 맞춘 가계부 사용법을 제안해보자. 당신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툴, 기록 방식, 목표 설정 방식이 다르다. 성격이 가계부를 지배한다!
2️⃣ 🧠 [분석형 I유형] 데이터로 나를 움직이는 ‘재무 매니아’를 위한 가계부
핵심 키워드: 카테고리 세분화, 그래프 시각화, 월별 비교
분석형은 가계부를 ‘기록하고 끝내는’ 게 아니라, 분석 자료로 활용한다.
이런 사람은 다음 기능을 중심으로 가계부를 설정하자:
- 엑셀 or 네이버 가계부 추천: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롭고, 카테고리 세분화 가능
- 그래프 시각화 중요: 월별 소비 그래프, 비율 분석 그래프 필수
- 목표 대비 실제 비교: 예산 설정 후 실제와의 차이 비교 기능 사용
- 고정비/변동비 별도 분석: “가장 불어난 영역은 식비였네?” 같은 인사이트
👉 추천 포맷: "소비 리포트" 형태로 주간 단위 분석
👉 월 말마다 “이번 달 소비 요약 리포트” 작성으로 자기 점검
3️⃣ 💖 [감성형 E유형] 감정과 기억이 남는 ‘스토리형 소비자’를 위한 가계부
핵심 키워드: 감정 태그, 소비 일기, 소비 동기 기록
이 유형은 숫자보다 ‘소비의 감정과 의미’에 민감하다.
단순한 금액보다 왜 소비했는지가 더 중요하다.
- 일기형 가계부 앱 추천 (ex. 다이어리 가계부)
- “💬 스트레스 해소”, “🥹 외로워서”, “🎉 나를 위한 선물” 등 감정 태그 추가
- 사진 첨부 기능 활용: 내가 산 것의 기록과 함께 추억 남기기
- 주간 소비 회고: “이번 주 나는 왜 이렇게 썼을까?”
👉 추천 포맷: ‘감정 소비 리포트’ / ‘내 돈의 감정 일기’
👉 팁: "감정 소비 패턴"을 시각화하면 자각의 힘이 커짐
4️⃣ 🌀 [즉흥형 S유형] 귀찮은 건 질색! ‘한 번에 휙’ 소비자를 위한 가계부
핵심 키워드: 자동화, 알림 설정, 짧고 간결한 기록
즉흥형은 기록 자체를 귀찮아하므로 지속가능한 최소한의 기록 방식이 중요하다.
- 자동 연동 가계부 앱 필수 (ex. 뱅크샐러드, 토스)
- 소비 발생 시 자동 기록 → 알림으로 알려줘서 클릭 한 번으로 완료
- "3줄 요약 가계부": 한달에 한 번 요약, 일주일 한 줄
- 미리 알림 설정: “이번 주 지출 알림”, “주간 소비 리포트 확인”
👉 추천 포맷: 한 눈에 보이는 “스냅샷 가계부”
👉 꿀팁: 챌린지식 ‘게임화’ 도입 (ex. "이번 주 식비 줄이기 도전!")
5️⃣ 📊 [계획형 J유형] 플래너 인생, ‘목표 지향 소비자’를 위한 가계부
핵심 키워드: 예산 편성, 목표 설정, 정산 루틴
계획형은 가계부를 실행 도구이자 목표 실현 수단으로 본다.
이들은 계획이 구체적일수록 동기부여가 강해진다.
- 월간 예산표 작성 후 지출 입력: 계획 대비 실적 확인 중요
- 예산 초과 시 원인 분석 기록
- 목표 지출 달성 시 리워드 설정: 작지만 실현 가능한 목표 설정
- 주간 예산 회의 (혼자든 가족과든 루틴화)
👉 추천 포맷: "가계부 + 목표 달성 시트" 결합
👉 플러스 아이디어: “6개월 목표 자산 달성 프로젝트” 식 장기 계획
✅ 마무리 정리
- 모든 가계부는 사람 중심이어야 한다. 숫자보다 중요한 건 지속 가능성이다.
- 당신이 어떤 성향인지에 따라, 기록 방식·도구·목표 설정이 달라져야 한다.
- MFTI를 활용하면 “가계부를 꾸준히 쓰는 사람”이 될 수 있다.
- 당신에게 맞는 가계부는 당신의 성격 안에 있다!
'월급관리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📱 [지갑 속 비서] 월급관리 앱 추천 가이드 (0) | 2025.04.15 |
---|---|
💸 [부자의 공식: 감정, 습관, 구조] (0) | 2025.04.14 |
💼 [TMI 재무제표 만들기] 나만의 가계부를 기업처럼 분석하는 법 (0) | 2025.04.11 |
🎢 [비정기 지출 회고록] 명절, 경조사, 몰아치는 소비의 파도에서 살아남기 (0) | 2025.04.10 |
📆 일주일 예산 생활 챌린지 (0) | 2025.04.10 |